online & web resolution aid

항상 고객사와 소통하는 오라인포

국제보도자료

> 오라人 > 보도자료

무협, 중국 보안카메라 시장 진출 서둘러야

등록일 2018/08/27 09:09:47 조회수3432
무협, 중국 보안카메라 시장 진출 서둘러야
<이 기사는 2018년 08월 27일 11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중국 보안카메라 시장이 고속성장하면서 우리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 베이징지부가 27일 발표한 '중국의 보안카메라산업 발전 동향'에 따르면, 중국 보안카메라 시장은 최근 3년 연속 10%를 넘는 증가율을 보였고 오는 2020년에는 시장이 1천6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 보안카메라 시장이 팽창하는 이유는 ▲가정용 수요와 전자상거래 기반 판매 증가 ▲IT·인터넷 기업 진출 가속화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적용 때문이다.

중국 소비자들의 신변 안전 및 재산 보호에 대한 관심 증가와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지난해 중국 보안카메라의 전자상거래 매출은 약 400억 위안에 달했고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화웨이, 샤오미 등은 기존 보안업체와 협력해 시장에 빠르게 진출하고 있다.

AI 기술 접목은 보안카메라의 해상도 업그레이드, 저장장치 클라우드화, 촬영 및 영상 분석의 스마트화 등을 실현했다.

보고서는 막대한 제조능력을 갖춘 중국 로컬기업이 정부조달 시장과 중저가 시장을 대부분 장악하고 있지만, 핵심 부품인 칩과 광학렌즈 등은 여전히 미국, 한국, 일본, 독일 등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맞아 보안카메라 제품이 점차 고사양·고도화됨에 따라 우리 기업이 중국 기업과 협력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늘어날 전망이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 김병유 지부장은 "중국의 안면인식 보안기술 상용화로 보안카메라 시장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중국 소비자 트렌드 분석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시장 공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