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세계 최대 규모 '국제반부패회의' 2020년 한국 개최
<이 기사는 2018년 10월 25일 11시 2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2020년에 열리는 제19차 국제반부패회의(International Anti-Corruption Conference, 이하 IACC)의 개최국으로 최종 결정됐다.
IACC는 25일(현지시각)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18차 회의 폐막식에서 대한민국을 제19차 회의 개최국으로 공식 선언했다.
IACC는 세계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국제투명성기구(TI)와 각국 정부가 공동으로 2년에 한 번 개최하는 국제반부패회의로 명실상부한 최대 규모의 국제 반부패 연대의 장이다.
여기에는 140개국의 각료급 대표와 시민사회·국제기구·언론 등 반부패 전문가 2천여 명이 참석한다.
국내 반부패정책의 통제탑 역할을 하는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새 정부 출범 이후 IACC 차기 회의 유치를 위해 노력해 왔다.
IACC는 제19차 회의 개최국을 대한민국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대한민국이 청렴 사회를 향한 시민사회의 역량을 결집해 평화적이고 민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민·관 협력형 반부패 거버넌스를 실현해 가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고 밝혔다.
오는 2020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19차 IACC는 대한민국의 반부패 경험과 교훈을 전 세계와 공유함으로써 국제사회와의 반부패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청렴 리더의 역할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19차 IACC는 청렴 사회 구축과 관련 각국 정부, 시민사회의 경험을 교환하고 부패 척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5개의 전체 세션과 50여 개의 워크숍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본 회의 이외에도 국제 반부패 영화제, 반부패 청렴 콘서트, 반부패 청년단 활동 등 부대행사를 통해 2030 세대가 부패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 김태응 상임위원은 차기 개최국 수락 연설에서 "대한민국은 정부와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했고 이제 그들이 함께 모여 청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다"며 "제19차 국제반부패회의를 통해 청렴 사회를 향한 한국의 촛불정신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끝)
출처 : 국민권익위원회 보도자료
<이 기사는 2018년 10월 25일 11시 2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2020년에 열리는 제19차 국제반부패회의(International Anti-Corruption Conference, 이하 IACC)의 개최국으로 최종 결정됐다.
IACC는 25일(현지시각)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18차 회의 폐막식에서 대한민국을 제19차 회의 개최국으로 공식 선언했다.
IACC는 세계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국제투명성기구(TI)와 각국 정부가 공동으로 2년에 한 번 개최하는 국제반부패회의로 명실상부한 최대 규모의 국제 반부패 연대의 장이다.
여기에는 140개국의 각료급 대표와 시민사회·국제기구·언론 등 반부패 전문가 2천여 명이 참석한다.
국내 반부패정책의 통제탑 역할을 하는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새 정부 출범 이후 IACC 차기 회의 유치를 위해 노력해 왔다.
IACC는 제19차 회의 개최국을 대한민국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대한민국이 청렴 사회를 향한 시민사회의 역량을 결집해 평화적이고 민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민·관 협력형 반부패 거버넌스를 실현해 가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고 밝혔다.
오는 2020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19차 IACC는 대한민국의 반부패 경험과 교훈을 전 세계와 공유함으로써 국제사회와의 반부패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청렴 리더의 역할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19차 IACC는 청렴 사회 구축과 관련 각국 정부, 시민사회의 경험을 교환하고 부패 척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5개의 전체 세션과 50여 개의 워크숍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본 회의 이외에도 국제 반부패 영화제, 반부패 청렴 콘서트, 반부패 청년단 활동 등 부대행사를 통해 2030 세대가 부패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민권익위 김태응 상임위원은 차기 개최국 수락 연설에서 "대한민국은 정부와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했고 이제 그들이 함께 모여 청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있다"며 "제19차 국제반부패회의를 통해 청렴 사회를 향한 한국의 촛불정신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끝)
출처 : 국민권익위원회 보도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