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중소기업 지원용 해외건설 기술정보 6개국 6천건 확대
<이 기사는 2017년 05월 29일 14시 3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가 2개 거점국가 2천400여 건에서 6개 거점국가 6천여 건으로 대폭 늘어난다.
이에 따라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던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더욱 용이해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해외 거점국가별로 맞춤형 기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오는 5월 31일부로 확대·개편한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연구 개발(R&D) 사업으로 추진 중인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기존 해외건설협회 등에서는 주로 대기업 중심의 건설공사 및 플랜트 수주 지원을 위한 공사 발주 정보, 건설시장 동향, 건설통계 등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했다.
하지만,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설계, 감리 등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의 수주뿐만 아니라 업무수행 지원을 위한 해외 국가의 법과 제도를 비롯해 인허가, 입찰 및 계약, 설계, 사업 관리(자재, 장비, 노무, 재무, 세금, 품질, 환경, 이의 제기 등) 등 기술정보 및 실제 사례 전반에 대해 누리집(www.ovice.or.kr)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제공 대상 국가가 너무 적고, 정보량도 부족한 데다가 검색 등 서비스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번 확대·개편을 통해 정보제공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확대하는 등 상당한 개선이 진행됐다.
주요 확대·개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종전 2개 거점국가(베트남, 인도네시아) 중심의 약 2천400여 건의 정보가 제공됐으나, 4개 거점국가(필리핀, 방글라데시, 미얀마, 페루)를 추가하고 약 6천여 건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대폭 확대했다.
6개 거점국가에 대해 국가별 종합안내서인 '해외 진출 가이드북'을 개발해 제공하고, 해외 건설사업 계약업무의 실무활용을 돕기 위해 '해외건설 계약 및 클레임 사례정보' 내용을 추가했다.
또한, 기존의 주제별 정보서비스와 국가별 정보서비스 외에도 상황별 맞춤형 정보, 공사의 종류 및 시설물별 분류 검색, 해외건설 종합정보서비스 연계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각종 기능을 개발해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17년 하반기부터는 미국 진출에 필요한 정보(건설 인프라 관련 법·제도, 기준, 계약방식 등)도 제공할 예정이며, 2019년 상반기까지 9개 거점국가를 추가하는 등 정보제공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2018년(추가): 터키, 케냐 2019년(추가): 시장 상황, 진출전략 등을 고려해 2018년 하반기 7개국 선정예정
그리고 해외건설 관련 사이트와도 연계해 통합검색이 가능(2017.12.)하도록 하고, 해외 사업 수행 시 각 업무 단계별로 필요한 세부정보를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거점국가별로 추가로 개발해 제공(2018.2.)할 예정이다.
또한, 2017년 하반기에는 국내외 기술인력 데이터베이스, 해외 발주처 및 현지 기업의 세부정보, 해외 수요기반 기술 동향, 해외 건설시장 분석정보 제공방안도 마련해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의 확대·개편을 통해 해외 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취약한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해외 건설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 업계의 의견청취 등을 통해 정보제공 국가를 확대하고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끝)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7년 05월 29일 14시 3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가 2개 거점국가 2천400여 건에서 6개 거점국가 6천여 건으로 대폭 늘어난다.
이에 따라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던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더욱 용이해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해외 거점국가별로 맞춤형 기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오는 5월 31일부로 확대·개편한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연구 개발(R&D) 사업으로 추진 중인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기존 해외건설협회 등에서는 주로 대기업 중심의 건설공사 및 플랜트 수주 지원을 위한 공사 발주 정보, 건설시장 동향, 건설통계 등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했다.
하지만,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설계, 감리 등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의 수주뿐만 아니라 업무수행 지원을 위한 해외 국가의 법과 제도를 비롯해 인허가, 입찰 및 계약, 설계, 사업 관리(자재, 장비, 노무, 재무, 세금, 품질, 환경, 이의 제기 등) 등 기술정보 및 실제 사례 전반에 대해 누리집(www.ovice.or.kr)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제공 대상 국가가 너무 적고, 정보량도 부족한 데다가 검색 등 서비스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번 확대·개편을 통해 정보제공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확대하는 등 상당한 개선이 진행됐다.
주요 확대·개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종전 2개 거점국가(베트남, 인도네시아) 중심의 약 2천400여 건의 정보가 제공됐으나, 4개 거점국가(필리핀, 방글라데시, 미얀마, 페루)를 추가하고 약 6천여 건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대폭 확대했다.
6개 거점국가에 대해 국가별 종합안내서인 '해외 진출 가이드북'을 개발해 제공하고, 해외 건설사업 계약업무의 실무활용을 돕기 위해 '해외건설 계약 및 클레임 사례정보' 내용을 추가했다.
또한, 기존의 주제별 정보서비스와 국가별 정보서비스 외에도 상황별 맞춤형 정보, 공사의 종류 및 시설물별 분류 검색, 해외건설 종합정보서비스 연계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각종 기능을 개발해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17년 하반기부터는 미국 진출에 필요한 정보(건설 인프라 관련 법·제도, 기준, 계약방식 등)도 제공할 예정이며, 2019년 상반기까지 9개 거점국가를 추가하는 등 정보제공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2018년(추가): 터키, 케냐 2019년(추가): 시장 상황, 진출전략 등을 고려해 2018년 하반기 7개국 선정예정
그리고 해외건설 관련 사이트와도 연계해 통합검색이 가능(2017.12.)하도록 하고, 해외 사업 수행 시 각 업무 단계별로 필요한 세부정보를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거점국가별로 추가로 개발해 제공(2018.2.)할 예정이다.
또한, 2017년 하반기에는 국내외 기술인력 데이터베이스, 해외 발주처 및 현지 기업의 세부정보, 해외 수요기반 기술 동향, 해외 건설시장 분석정보 제공방안도 마련해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의 확대·개편을 통해 해외 정보의 수집과 활용에 취약한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해외 건설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 업계의 의견청취 등을 통해 정보제공 국가를 확대하고 부족한 내용을 보완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끝)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