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태국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수료식 개최
<이 기사는 2017년 06월 08일 16시 38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교육부는 6월 8일(목) 오전 10시 한국외대에서 태국인 한국어 교원의 4개월간의 연수 과정 수료를 축하하고 이들을 격려하기 위한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교육부 국제협력관, 한국외대 총장 등이 참석해 태국인 한국어 교원에게 수료증을 전달하고 한국어 교원으로서 자긍심을 가지도록 격려했다.
또한, 교원들은 본국으로 돌아가 현지 학생들에게 한국을 알리고, 한국어가 제대로 전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가르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수료식을 마친 교원들은 6월 11일 태국으로 출국하며, 현지에서 남은 1년의 교육을 마치면 한국어교사자격증을 취득한다.
태국인 한국어 교원 양성 사업은 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2014년부터 4년간 총 140명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표로 진행됐다.
교육부는 총 2년간 진행되는 태국인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 내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연수과정에는 태국인 한국어 교원들을 위한 한국어 수업 실습, 한국어 발음 수업, 한국어 교수법 및 한국 문화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돼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양성된 교원들은 태국 현지 학교에서 한국어 교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실제로 2014년 양성과정을 거친 1기 선생님들은 현지 학교로 배치돼 한국어 알리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허왕 학교에서 근무하는 터끼엇 세미통 선생님은 처음 부임했을 때만 해도 학교가 과학, 수학 등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한국어 수업 수요가 적었으나, 1년간 최선을 다해 한국어를 가르치고, 한국 문화를 홍보한 결과 지금은 한국어 반이 더 개설되고, 학생 수도 늘어 뿌듯하다는 소감을 전해왔다.
또 다른 교사인 어라판 씨나팽 선생님은 주태국한국교육원과 태국 교육부가 협력해 진행하는 태국 정규학교용 한국어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다며 이에 대한 감격과 자랑스러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교육부 최영한 국제협력관은 "태국인 한국어 선생님들이 앞으로 양국을 이어주는 중요한 다리가 돼줄 것으로 기대하며, 아쉽게도 이 사업은 올해로 종료되지만, 앞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다른 국가에서도 한국어 교원을 양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끝)
출처 : 교육부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7년 06월 08일 16시 38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교육부는 6월 8일(목) 오전 10시 한국외대에서 태국인 한국어 교원의 4개월간의 연수 과정 수료를 축하하고 이들을 격려하기 위한 수료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교육부 국제협력관, 한국외대 총장 등이 참석해 태국인 한국어 교원에게 수료증을 전달하고 한국어 교원으로서 자긍심을 가지도록 격려했다.
또한, 교원들은 본국으로 돌아가 현지 학생들에게 한국을 알리고, 한국어가 제대로 전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가르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수료식을 마친 교원들은 6월 11일 태국으로 출국하며, 현지에서 남은 1년의 교육을 마치면 한국어교사자격증을 취득한다.
태국인 한국어 교원 양성 사업은 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2014년부터 4년간 총 140명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표로 진행됐다.
교육부는 총 2년간 진행되는 태국인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 내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연수과정에는 태국인 한국어 교원들을 위한 한국어 수업 실습, 한국어 발음 수업, 한국어 교수법 및 한국 문화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돼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양성된 교원들은 태국 현지 학교에서 한국어 교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실제로 2014년 양성과정을 거친 1기 선생님들은 현지 학교로 배치돼 한국어 알리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허왕 학교에서 근무하는 터끼엇 세미통 선생님은 처음 부임했을 때만 해도 학교가 과학, 수학 등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한국어 수업 수요가 적었으나, 1년간 최선을 다해 한국어를 가르치고, 한국 문화를 홍보한 결과 지금은 한국어 반이 더 개설되고, 학생 수도 늘어 뿌듯하다는 소감을 전해왔다.
또 다른 교사인 어라판 씨나팽 선생님은 주태국한국교육원과 태국 교육부가 협력해 진행하는 태국 정규학교용 한국어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다며 이에 대한 감격과 자랑스러움을 표현하기도 했다.
교육부 최영한 국제협력관은 "태국인 한국어 선생님들이 앞으로 양국을 이어주는 중요한 다리가 돼줄 것으로 기대하며, 아쉽게도 이 사업은 올해로 종료되지만, 앞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다른 국가에서도 한국어 교원을 양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끝)
출처 : 교육부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