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 web resolution aid

항상 고객사와 소통하는 오라인포

국제보도자료

> 오라人 > 보도자료

[AsiaNet] 핀테크 포워드, 오는 10월 바레인서 제3회 행사 개최

등록일 2025/06/06 14:02:54 조회수30
[AsiaNet] 핀테크 포워드, 오는 10월 바레인서 제3회 행사 개최

-- 금융계 주요 인사 한자리에

AsiaNet 0200860

마나마, 바레인 2025년 6월 6일 /AsiaNet=연합뉴스/-- 바레인이 제3회 핀테크 포워드(Fintech Forward)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바레인 경제개발청(Bahrain Economic Development Board, Bahrain EDB)이 주최하고, 이코노미스트 임팩트(Economist Impact)가 행사 기획 및 주관을 맡는다. 핀테크 포워드는 결제, 핀테크, 금융 산업 전반의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업계 리더, 투자자, 금융 전문가들이 지식을 나누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대표적인 지역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이미지를 확인하려면 여기를 클릭.

지역 대표 금융 서비스 행사인 2025 핀테크 포워드(FF25)가 10월 8일부터 9일까지 엑서비션 월드 바레인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바레인 중앙은행과 공동으로 주최하고, 바레인 핀테크 베이(Bahrain FinTech Bay)가 후원한다.

기조연설, 패널 토론, 대화형 세션 등으로 구성된 이틀간의 행사에서는 핀테크 산업의 기회와 과제를 조명하고, 주목할 만한 성공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통합의 시대: 핀테크 성숙기(The era of integration: the maturing age of fintech)'라는 주제 아래 열리는 FF25는 전 세계 핀테크 전문가, 금융기관, 정부, 규제 당국이 한자리에 모여 업계 트렌드를 논의하고 인사이트를 나누며 지식 교류를 통해 산업 발전을 모색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핀테크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주요 논의 내용에는 빠른 성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숙기로의 전환, 임베디드 인프라와 첨단 기술의 부상, 급진적 변화보다는 신뢰·규제·통합에 대한 관심 확대, 규제 당국·국부펀드·전통 금융기관 간 협력 강화 등이 포함된다.

이번 글로벌 행사의 개최국인 바레인은 암호화폐, 디지털 결제, 오픈뱅킹 솔루션 등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과 전통 금융이 공존하는 견고한 금융 서비스 산업을 갖추고 있다. 바레인의 단일 금융 규제 기관인 바레인 중앙은행(CBB)은 핀테크 혁신 전담 부서와 선도적인 규제 체계를 통해 금융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왔다. CBB가 운영하는 역내 규제 샌드박스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에서 최초로 도입된 것으로 국내외 핀테크 기업들이 신기술을 안전하게 테스트하고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탄력적이고 규제 친화적인 핀테크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핀테크 포워드는 전 세계 참가자들의 참여 속에 성공적으로 개최된 이전 행사를 바탕으로 업계 리더들이 인사이트를 나누고 협력을 증진하며, 지역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2025 핀테크 포워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 확인 및 참가 등록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미디어 관계자 등록은 여기 링크를 통해 할 수 있다.

# 끝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

압둘레라 압둘라(Abdulelah Abdulla)
커뮤니케이션 부서경제개발청
전화: +973-39798919
이메일: internationalmedia@bahrainedb.com

바레인 경제개발청 소개

바레인 경제개발청(Bahrain EDB)은 바레인의 투자 유치를 총괄하고,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각종 이니셔티브를 지원하는 투자 진흥 기관이다.

바레인 EDB는 정부, 현재 및 잠재 투자자들과 협력해 바레인의 투자 환경을 보다 매력적으로 조성하고, 주요 강점을 효과적으로 알리며, 투자를 통한 추가적인 경제 성장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바레인 EDB는 바레인의 경쟁력을 활용하고 투자 기회가 풍부한 여러 경제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부문으로는 금융 서비스, 제조, 물류, ICT, 관광 등이 있다. 바레인 EDB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bahrainedb.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 제공: Bahrain Economic Development Board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