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Newswire] 코그넥스, 혁신적 클라우드 플랫폼 '원비전(One Vision™)' 공개
-- 새로운 훈련 환경, 확장 가능한 자동화 실현 및 산업용 AI 도입의 주요 핵심 과제 해결
네이틱, 매사추세츠 2025년 6월 1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산업용 머신 비전 분야의 글로벌 기술 선도기업인 코그넥스 코퍼레이션(Cognex Corporation, NASDAQ: CGNX)이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원비전(OneVision™)의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발표했다. 원비전은 제조업체가 AI 기반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학습, 확장하는 방식을 혁신할 것으로 기대된다.
칼 거스트(Carl Gerst) 코그넥스 비전 및 ID 제품 총괄 부사장은 "One Vision은 코그넥스가 지난 10년간 산업용 AI 혁신에 매진한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그는 "첨단 AI 기술과 뛰어난 고객 경험을 결합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 과정을 간소화해 고객이 더 빠르게 대응하고 효율적으로 확장하며 자동화 투자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
글로벌 제조 현장의 니즈에 맞춰 설계된 원비전은 AI 기반 머신 비전의 대규모 도입을 가로막는 주요 과제를 해결했다.
- 긴 개발 과정과 높은 학습 난이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단계별 워크플로를 통해 기술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설정 시간을 수 개월에서 수 분으로 줄일 수 있다.
- 고비용의 인프라 투자: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추가 하드웨어가 필요없도록 하여 초기비용을 절감하고 투자수익률(ROI)을 극대화한다.
- 통합 데이터부족과 분산된 운영: 통합 플랫폼은 도구, 데이터, 워크플로를 한 곳에 모아 협업을 간소화하고, 공유 작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여러 장치, 생산라인, 현장에 배포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한다.
- 사이트 간 성능 불일치: 중앙 집중식 개발과 현장 맞춤형 설정을 결합해 표준화를 유지하면서도 사이트별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One Vision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머신 비전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AI 도입을 가속화하며, 사용자들이 복잡한 비전 작업을 더 빠르고 신뢰성있게 대규모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비전은 현재 일부 고객이 인-사이트(In-Sight®) 3800 및 8900 비전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코그넥스는 2026년 초 다른 제품에서도 원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출시할 예정이다.
코그넥스 코퍼레이션 소개
코그넥스는 40년 넘게 첨단 머신 비전 기술을 보다 손쉽게 구현하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자동화를 통해 더 빠르고 스마트하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왔다.
코그넥스의 비전 센서와 시스템에 적용된 혁신 기술은 자동차, 가전, 포장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제조 및 유통 과제를 해결하며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코그넥스는 오랜 기간 AI 기술에 집중해 온 덕분에 이러한 툴을 더욱 강력하면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장과 물류창고는 고도의 기술 지식 없이도 품질을 개선하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미국 보스턴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30여 개국에 지사를 운영하고 3 만 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cognex.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IR 문의 그리어아비브(Greer Aviv)
IR 책임자
코그넥스코퍼레이션
ir@cognex.com[ir@cognex.com]
미디어 문의 제레미사코(Jeremy Sacco)
글로벌콘텐츠마케팅시니어매니저
코그넥스코퍼레이션
pr@cognex.com[pr@cognex.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01670/Cognex_Corporation_OneVision.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310647/Cognex_Logo.jpg?p=medium600]
출처: Cognex Corporation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 새로운 훈련 환경, 확장 가능한 자동화 실현 및 산업용 AI 도입의 주요 핵심 과제 해결
네이틱, 매사추세츠 2025년 6월 1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산업용 머신 비전 분야의 글로벌 기술 선도기업인 코그넥스 코퍼레이션(Cognex Corporation, NASDAQ: CGNX)이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원비전(OneVision™)의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발표했다. 원비전은 제조업체가 AI 기반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학습, 확장하는 방식을 혁신할 것으로 기대된다.
칼 거스트(Carl Gerst) 코그넥스 비전 및 ID 제품 총괄 부사장은 "One Vision은 코그넥스가 지난 10년간 산업용 AI 혁신에 매진한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그는 "첨단 AI 기술과 뛰어난 고객 경험을 결합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 과정을 간소화해 고객이 더 빠르게 대응하고 효율적으로 확장하며 자동화 투자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
글로벌 제조 현장의 니즈에 맞춰 설계된 원비전은 AI 기반 머신 비전의 대규모 도입을 가로막는 주요 과제를 해결했다.
- 긴 개발 과정과 높은 학습 난이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단계별 워크플로를 통해 기술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설정 시간을 수 개월에서 수 분으로 줄일 수 있다.
- 고비용의 인프라 투자: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추가 하드웨어가 필요없도록 하여 초기비용을 절감하고 투자수익률(ROI)을 극대화한다.
- 통합 데이터부족과 분산된 운영: 통합 플랫폼은 도구, 데이터, 워크플로를 한 곳에 모아 협업을 간소화하고, 공유 작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여러 장치, 생산라인, 현장에 배포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한다.
- 사이트 간 성능 불일치: 중앙 집중식 개발과 현장 맞춤형 설정을 결합해 표준화를 유지하면서도 사이트별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One Vision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머신 비전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AI 도입을 가속화하며, 사용자들이 복잡한 비전 작업을 더 빠르고 신뢰성있게 대규모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비전은 현재 일부 고객이 인-사이트(In-Sight®) 3800 및 8900 비전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코그넥스는 2026년 초 다른 제품에서도 원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출시할 예정이다.
코그넥스 코퍼레이션 소개
코그넥스는 40년 넘게 첨단 머신 비전 기술을 보다 손쉽게 구현하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자동화를 통해 더 빠르고 스마트하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왔다.
코그넥스의 비전 센서와 시스템에 적용된 혁신 기술은 자동차, 가전, 포장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제조 및 유통 과제를 해결하며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코그넥스는 오랜 기간 AI 기술에 집중해 온 덕분에 이러한 툴을 더욱 강력하면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장과 물류창고는 고도의 기술 지식 없이도 품질을 개선하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미국 보스턴 인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30여 개국에 지사를 운영하고 3 만 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cognex.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IR 문의 그리어아비브(Greer Aviv)
IR 책임자
코그넥스코퍼레이션
ir@cognex.com[ir@cognex.com]
미디어 문의 제레미사코(Jeremy Sacco)
글로벌콘텐츠마케팅시니어매니저
코그넥스코퍼레이션
pr@cognex.com[pr@cognex.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01670/Cognex_Corporation_OneVision.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310647/Cognex_Logo.jpg?p=medium600]
출처: Cognex Corporation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