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북경에서 한중 경제인 포럼 개최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4일 17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사드 국면에도 불구하고 한중수교 25주년을 맞이해 양국 경제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미래 신산업에 대한 공동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24일(목) 북경에서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한중 경제인 포럼'을 개최했다.
주중한국대사관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국제상보사가 후원하고 양국 경제인 18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 25년간 한중 경제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등 미래 산업에 대한 양국 간 공동협력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됐다.
'한중 25주년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주제발표에 나선 무역협회 최용민 동향분석실장은 한국은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 대중국 투자 1위(화교권 제외)를 기록할 만큼 양국의 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서비스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래 신산업 공동협력 방안'주제 발표자인 중국공업경제연구소 궈챠오셴 주임은 신산업 위주, 산업 내 협력, R&D단계 협력, 서비스 협력, 한중 양방향 투자, 한중 공동 제3국 투자 등 6가지 협력방향을 제시하며 글로벌화, 정보화 추세에서 중국은 한국 등 제조 강국과의 산업협력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서 양국 전문가들은 한중간 협력과 신산업 분야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다.
SK차이나 리신밍 고급부총재는 SK와 중국의 우호증진 및 경제교류 성과에 대해 회고했다.
칭화대 전자공학과 정홍식 교수는 인공지능 칩 분야에서, 귀양빅데이터교역소 후웬웬 소장은 빅데이터 교역 부문에서 한중간 협력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징둥의 위궈유 총감은 일대일로가 전자상거래 업체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이며,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은 규모에 의한 보너스 시대를 지나 품질, 브랜드, 서비스 경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무역협회 김극수 국제사업본부장은 "글로벌화 및 4차 산업혁명으로 한중 양국 모두 과거에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신산업 분야의 아이디어들이 반드시 실현되어, 앞으로 한중 협력관계가 과거 25년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성과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4일 17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사드 국면에도 불구하고 한중수교 25주년을 맞이해 양국 경제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미래 신산업에 대한 공동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24일(목) 북경에서 '한중수교 25주년 기념 한중 경제인 포럼'을 개최했다.
주중한국대사관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국제상보사가 후원하고 양국 경제인 18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 25년간 한중 경제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등 미래 산업에 대한 양국 간 공동협력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됐다.
'한중 25주년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주제발표에 나선 무역협회 최용민 동향분석실장은 한국은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 대중국 투자 1위(화교권 제외)를 기록할 만큼 양국의 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서비스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래 신산업 공동협력 방안'주제 발표자인 중국공업경제연구소 궈챠오셴 주임은 신산업 위주, 산업 내 협력, R&D단계 협력, 서비스 협력, 한중 양방향 투자, 한중 공동 제3국 투자 등 6가지 협력방향을 제시하며 글로벌화, 정보화 추세에서 중국은 한국 등 제조 강국과의 산업협력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서 양국 전문가들은 한중간 협력과 신산업 분야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다.
SK차이나 리신밍 고급부총재는 SK와 중국의 우호증진 및 경제교류 성과에 대해 회고했다.
칭화대 전자공학과 정홍식 교수는 인공지능 칩 분야에서, 귀양빅데이터교역소 후웬웬 소장은 빅데이터 교역 부문에서 한중간 협력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징둥의 위궈유 총감은 일대일로가 전자상거래 업체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이며,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은 규모에 의한 보너스 시대를 지나 품질, 브랜드, 서비스 경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무역협회 김극수 국제사업본부장은 "글로벌화 및 4차 산업혁명으로 한중 양국 모두 과거에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신산업 분야의 아이디어들이 반드시 실현되어, 앞으로 한중 협력관계가 과거 25년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성과를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