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러시아 8개 주지사 방한 러시아 투자환경 설명회 개최
<이 기사는 2017년 10월 25일 15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러시아 전략기획청(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 ASI), KOTRA,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25일 잠실 롯데호텔에서 '러시아 투자진출 플라자'를 개최했다.
러 대통령 직속의 전략기획청을 단장으로 칼리닌그라드, 노브고로드, 칼루가주 등 러시아 주요 8개 주 주지사가 방한해 개최된 이번 행사는, 각 지역에 대한 우리 기업의 사업기회와 투자환경 그리고 주요 인센티브 등이 소개됐다.
오후에는 이번에 방한 주지사 등 주 대표가 직접 우리 기업과 상담에 나서 우리 기업들을 위한 맞춤식 사업기회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이번 행사에는 러시아 투자진출에 관심이 높은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200여 개 사가 참가했다.
최근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설치돼 신북방정책이 역점 추진되고 있고, 러시아 역시 한국을 극동의 전략적 파트너로 천명하는 등, 양국 간 경제협력 분위기가 고조되는 시점에 개최돼 양국 기업 등 참석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통화 가치가 경제 침체 전인 2013년 수준에 비해 약 44% 이상 하락한 만큼, 지금이 러시아 투자진출 초기비용이 가장 저렴한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또한 러시아가 2012년부터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제2의 산업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어 사업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러시아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인프라 수준이 다르고 투자 인센티브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번 행사처럼 각 주의 구체적인 투자여건을 알 수 있는 기회를 통해 기업 특성에 맞는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 이재출 전무는 "러시아 시장은 주요시장에서 확산일로의 자국 이기주의와 보호주의에 맞설 대안으로 매력적"이라며 "러시아 역시 국토 및 인프라 개발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어 상호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전략기획청의 춥세바(Chupsheva) 청장은 "한국의 IT 분야와 의료 부문 진출도 기대되지만,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자동차 ▲농기계 ▲도로건설 및 통신장비 ▲식품용 기계 등이 특히 유망하다"며 한국 기업의 적극적 관심과 진출을 당부했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7년 10월 25일 15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러시아 전략기획청(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 ASI), KOTRA,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25일 잠실 롯데호텔에서 '러시아 투자진출 플라자'를 개최했다.
러 대통령 직속의 전략기획청을 단장으로 칼리닌그라드, 노브고로드, 칼루가주 등 러시아 주요 8개 주 주지사가 방한해 개최된 이번 행사는, 각 지역에 대한 우리 기업의 사업기회와 투자환경 그리고 주요 인센티브 등이 소개됐다.
오후에는 이번에 방한 주지사 등 주 대표가 직접 우리 기업과 상담에 나서 우리 기업들을 위한 맞춤식 사업기회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이번 행사에는 러시아 투자진출에 관심이 높은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200여 개 사가 참가했다.
최근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설치돼 신북방정책이 역점 추진되고 있고, 러시아 역시 한국을 극동의 전략적 파트너로 천명하는 등, 양국 간 경제협력 분위기가 고조되는 시점에 개최돼 양국 기업 등 참석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통화 가치가 경제 침체 전인 2013년 수준에 비해 약 44% 이상 하락한 만큼, 지금이 러시아 투자진출 초기비용이 가장 저렴한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또한 러시아가 2012년부터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분야를 중심으로 제2의 산업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어 사업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러시아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인프라 수준이 다르고 투자 인센티브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번 행사처럼 각 주의 구체적인 투자여건을 알 수 있는 기회를 통해 기업 특성에 맞는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 이재출 전무는 "러시아 시장은 주요시장에서 확산일로의 자국 이기주의와 보호주의에 맞설 대안으로 매력적"이라며 "러시아 역시 국토 및 인프라 개발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어 상호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전략기획청의 춥세바(Chupsheva) 청장은 "한국의 IT 분야와 의료 부문 진출도 기대되지만,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자동차 ▲농기계 ▲도로건설 및 통신장비 ▲식품용 기계 등이 특히 유망하다"며 한국 기업의 적극적 관심과 진출을 당부했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