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 web resolution aid

항상 고객사와 소통하는 오라인포

국제보도자료

> 오라人 > 보도자료

대한상의, '한-사우디 VISION 2030 비즈니스 포럼' 개최

등록일 2017/10/26 09:09:27 조회수3613
대한상의, '한-사우디 VISION 2030 비즈니스 포럼' 개최
<이 기사는 2017년 10월 26일 11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사우디상의연합회(위원장 압둘아지즈 아루크반)와 함께 26일 잠실 롯데호텔에서 '한-사우디 VISION 2030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하는 경제개혁안인 '사우디 VISION 2030'을 위한 경제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이 자리에는 양국 산업을 총괄하는 장관과 기업인 400여 명이 자리했다.

한국 측에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평오 주사우디 한국대사를 비롯해 현대자동차, 두산중공업, 대림산업, 한화건설, 포스코건설 등 기업인 300여 명이 참석했다.

사우디 측에서는 아델 빈 무하마드 파키흐(Adel bin Muhammad Fakeih) 사우디 경제기획부 장관과 압둘아지즈 아루크반(Abdulaziz Arrukban) 사우디상의 경협위원장이 참석했다.

또한 사우디 에너지산업 광물부, 환경수자원농업부, 정보통신기술부, 교육부 등 20여 개의 정부부처 및 기관 관계자 70여 명과 사우디 기업인 50여 명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사우디 VISION 2030은 탈석유, 산업 다각화를 위한 경제개혁정책이다.

신성장산업 육성, 민간부문 성장, 중소기업 육성, 삶의 질 향상 등 4대 중점과제를 골자로 조선·신재생·IT·관광 산업 육성, 주요 공기업 IPO, 외국인투자 유치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사우디는 한, 미, 일, 중 등 산업발전 경험 4국과 인도를 중점협력국가로 선정해 전략 파트너십을 구축 중이다.

우리나라와는 '한-사우디 비전 2030 공동위원회'를 창설하고 7대 민간협력(B2B)과 6대 정책협력(G2G)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한-사우디 비전 2030, 양국 협력의 나침반될 것"

이날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사우디 비전 2030은 양국 협력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다"며 양국 기업인들의 적극적인 경제협력을 당부했다.

박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1980년대 이후 많은 한국 기업과 근로자들이 진출한 사우디는 한국인들에게 정서적으로 매우 가까운 나라이며 사우디의 눈부신 발전에 일익을 담당했다는데 한국인들은 커다란 긍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우디가 도모하는 민간 개발을 위한 '새로운 성장 산업 발굴'이라는 중대한 변화는 앞으로도 더욱 뚜렷해질 것이며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다양한 협력 기회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양국이 협력해서 비전 2030을 더 구체화하고 그 안에 담긴 아이디어들도 하나, 둘씩 실천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한상의는 관련 내용을 널리 알리고 또 협의가 이뤄진 유망 분야에 대해서는 실현 가능성, 수익성 등을 진단해보는 역할에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사우디 VISION 2030과 관련해 디지털 경제,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과 관련한 협력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권평오 주사우디 한국대사가 사우디 VISION 2030을 통한 양국 기업 간 협력방안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고 사우디 경제기획부가 VISION 2030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이밖에 사우디 정부 측에서 신재생, 원자력, 방위산업, 제약·바이오 등에 대한 협력방안을 발표하고 국내 기업 IMIC와 에스오일이 조선·에너지 분야 협력방안을 설명한다.

대한상의는 "이번 한-사우디 VISION 2030 비즈니스 포럼을 통해 양국 정부와 기업인들의 협력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대한상의는 앞으로 VISION 2030 관련 협력 사업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와 긴밀히 논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끝)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