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 web resolution aid

항상 고객사와 소통하는 오라인포

국제보도자료

> 오라人 > 보도자료

무협, 중국 전자상거래 호황으로 식소비 문화 변화

등록일 2017/12/20 17:05:43 조회수3601
무협, 중국 전자상거래 호황으로 식소비 문화 변화
<이 기사는 2017년 12월 21일 15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중국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호황이 음식 영역에까지 빠르게 번지면서 중국인들의 식소비 문화까지 서서히 바뀌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 북경지부가 발표한 '중국의 음식배달 서비스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음식배달 시장규모가 최근 연평균 50.3%씩 성장하며 2016년 1천662억 위안까지 확대됐다.

특히 이는 2016년 중국의 전체 요식업 시장규모인 3조5천800억 위안의 4.6% 수준에 불과해 향후 성장 잠재력은 더욱 높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의 음식배달 서비스 이용자는 2016년 2억6천 명에서 올해에는 3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음식배달 서비스는 주로 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저렴한 음식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중국 아이메이(艾媒) 컨설팅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음식배달 서비스 이용자의 월급이어서 수준은 3천∼8천 위안이 65%로 가장 많지만, 1만 위안 이상은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음식가격도 16∼35위안이 63%로 가장 많지만, 56위안 이상은 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배달서비스 이용 이유로 식사시간 단축을, 음식배달 플랫폼 선정 시 배달속도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 직장인들의 생활템포가 빨라지면서 식습관도 과거의 여유와 푸짐함에서 속도 위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의 음식배달 서비스는 어러머, 메이퇀와이마이, 바이두와이마이 등 3대 온라인 플랫폼이 전체시장의 95.9%를 차지하는 과점형태이며 특히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가 음색배달 서비스 시장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가 운영했던 바이두와이마이가 올해 8월 어러머에 인수당하면서 어러머의 최대주주인 알리바바가 음식배달 서비스 시장의 55%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음식배달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은 마트, 편의점 등 각종 상점과 협력해 배달품목을 음식에 국한하지 않고 일용품, 과일 등의 다양한 품목에 대한 대행구매와 심부름 서비스까지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된 배달 인프라가 오프라인 상점과 연결되면서 소비자가 집이나 사무실에서 온라인 결제와 배송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 모든 물건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소비형태도 바뀌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심윤섭 차장은 "중국인들의 생활템포가 빨라지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확대되면서 중국의 음식 유통도 과거의 식당(상점)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온라인 플랫폼과 이를 뒷받침하는 배송 인프라 중심으로 중국의 유통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고 밝혔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