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싱가포르 '디지털 제조혁신센터' 방문
<이 기사는 2018년 02월 07일 13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10년 후 산업의 미래는?' 대한상공회의소가 10년 후 기업의 미래를 위한 '혁신의 길'을 찾아 나선다.
이번에는 싱가포르, 다음 달은 미국 실리콘밸리다.
대한상의는 7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의 '디지털 제조혁신센터'(DCC: Digital Capability Center)를 방문해 싱가포르판 '인더스트리 4.0' 현장을 볼 예정이다.
박용만 회장은 평소 직원들에게 "10년 후 기업들이 먹고 살 문제에 대해 우리의 역량을 집중해야 하지만, '혁신의 길'을 우리는 잘 모른다"며 '싱가포르든, 실리콘밸리든 어디라도 잘되고 있는 혁신현장을 직접 배워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싱가포르 방문길'에는 상의 임직원과 LG화학, 세아홀딩스, 현대엘리베이터, 퍼시스 등 기업의 미래전략 임원 등 총 20여 명이 비행기에 오른다.
싱가포르는 우리와 경제규모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첨단 제조업을 기간산업으로 키우는 중이어서 4차 산업혁명 적응순위 세계 2위로 선정(UBS, 2016년)된 바 있다.
싱가포르 DCC는 작년에 싱가포르 정부가 산하 제조업 경쟁력 지원기관인 ARTC(Advanced Remanufacturing & Technology Center) 내에 만든 '스마트 공장' 체험 공간이다.
대한상의는 싱가포르에 이어 3월에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메카인 '실리콘밸리'를 갈 예정이다.
(끝)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
<이 기사는 2018년 02월 07일 13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10년 후 산업의 미래는?' 대한상공회의소가 10년 후 기업의 미래를 위한 '혁신의 길'을 찾아 나선다.
이번에는 싱가포르, 다음 달은 미국 실리콘밸리다.
대한상의는 7일부터 3일간 싱가포르의 '디지털 제조혁신센터'(DCC: Digital Capability Center)를 방문해 싱가포르판 '인더스트리 4.0' 현장을 볼 예정이다.
박용만 회장은 평소 직원들에게 "10년 후 기업들이 먹고 살 문제에 대해 우리의 역량을 집중해야 하지만, '혁신의 길'을 우리는 잘 모른다"며 '싱가포르든, 실리콘밸리든 어디라도 잘되고 있는 혁신현장을 직접 배워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싱가포르 방문길'에는 상의 임직원과 LG화학, 세아홀딩스, 현대엘리베이터, 퍼시스 등 기업의 미래전략 임원 등 총 20여 명이 비행기에 오른다.
싱가포르는 우리와 경제규모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첨단 제조업을 기간산업으로 키우는 중이어서 4차 산업혁명 적응순위 세계 2위로 선정(UBS, 2016년)된 바 있다.
싱가포르 DCC는 작년에 싱가포르 정부가 산하 제조업 경쟁력 지원기관인 ARTC(Advanced Remanufacturing & Technology Center) 내에 만든 '스마트 공장' 체험 공간이다.
대한상의는 싱가포르에 이어 3월에는 스타트업의 글로벌 메카인 '실리콘밸리'를 갈 예정이다.
(끝)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