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4~6월에도 수출 증가세는 계속된다
<이 기사는 2018년 03월 29일 12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올해 2분기에도 수출 증가세는 이어지겠지만 원가 상승, 환율 변동성 확대, 주요국 수입규제 확대 등으로 수출기업의 불안요인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993개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8년 2/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EBSI)'에 따르면, 2분기의 EBSI 지수는 102.8로 전 분기(100.8)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출경기는 5분기 연속 100을 넘었지만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주요국 수입규제 움직임과 수출 채산성 악화 등이 증가 폭을 제한했다.
항목별로는 수입규제·통상마찰(70.4), 수출 채산성(80.3), 설비 가동률(86.5), 수출상품 제조원가(92.2) 등이 악화하는 반면 수출단가(100.6), 수출국 경기(95.8), 수출계약(95.7) 등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품목별로는 농수산물, 기계류, 석유제품, 화학공업 등을 중심으로 수출여건이 나아질 전망"이라며 "특히 석유·화학제품은 유가 상승과 중국의 수입수요 확대, 농수산물과 생활용품은 중국 수출 호조, 기계류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에 대한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수출경기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는 글로벌 경쟁 심화, 철강 및 비철금속 제품은 미국의 통상압박 등 주요국 수입규제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기업들은 2/4분기 예상되는 주요 수출 애로로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재료 가격 상승'(19.8%),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13.9%),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13.5%) 등을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이진형 연구원은 "수출 증가세는 이어지겠지만, 수출 불안요인도 병존한다"면서 "수출 채산성 악화, 통상마찰 심화 등 어려운 무역환경을 돌파하기 위해 수출기업과 정부, 관련 기관의 협력과 공조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
<이 기사는 2018년 03월 29일 12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올해 2분기에도 수출 증가세는 이어지겠지만 원가 상승, 환율 변동성 확대, 주요국 수입규제 확대 등으로 수출기업의 불안요인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993개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8년 2/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EBSI)'에 따르면, 2분기의 EBSI 지수는 102.8로 전 분기(100.8)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출경기는 5분기 연속 100을 넘었지만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주요국 수입규제 움직임과 수출 채산성 악화 등이 증가 폭을 제한했다.
항목별로는 수입규제·통상마찰(70.4), 수출 채산성(80.3), 설비 가동률(86.5), 수출상품 제조원가(92.2) 등이 악화하는 반면 수출단가(100.6), 수출국 경기(95.8), 수출계약(95.7) 등은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품목별로는 농수산물, 기계류, 석유제품, 화학공업 등을 중심으로 수출여건이 나아질 전망"이라며 "특히 석유·화학제품은 유가 상승과 중국의 수입수요 확대, 농수산물과 생활용품은 중국 수출 호조, 기계류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에 대한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수출경기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는 글로벌 경쟁 심화, 철강 및 비철금속 제품은 미국의 통상압박 등 주요국 수입규제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기업들은 2/4분기 예상되는 주요 수출 애로로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재료 가격 상승'(19.8%),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13.9%),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13.5%) 등을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이진형 연구원은 "수출 증가세는 이어지겠지만, 수출 불안요인도 병존한다"면서 "수출 채산성 악화, 통상마찰 심화 등 어려운 무역환경을 돌파하기 위해 수출기업과 정부, 관련 기관의 협력과 공조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끝)
출처 : 한국무역협회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