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OECD 자문기구 BIAC 한국위원회 재정비 후 첫 회의 개최
<이 기사는 2018년 05월 03일 11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구글세 등 한국 기업에 영향을 미칠 국제 정책이슈들을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경제계가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전경련은 OECD 정책수립 자문기구인 BIAC(The Business and Industry Advisory Committee) 한국위원회를 재정비 후 3일 제1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
2012년부터 BIAC 한국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김윤 삼양그룹 회장이 한국위원장을 맡았고,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 정동수 법무법인 율촌 고문, 이재훈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박상기 법무법인 화우 고문 등 전문가 10여 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BIAC은 OECD 회원국의 경제단체로 구성돼 있으며, OECD 정책 가이드라인 수립 시 경제계 의견을 대변하고 있다.
전경련은 1996년 BIAC 가입 후 2002년 BIAC 총회와 2016년 BIAC 이사회를 한국에서 개최하는 등 한국 경제계 대표로 활동해오고 있다.
◇김윤 위원장 "구글세 등 기업이슈 선제 대응 위해 조세·통상 등 전문가 위촉"
김윤 위원장은 "한국경제의 세계적 위상에도 다자외교 무대에서 한국 입장을 대변하거나 '구글세' 등 국제사회에서 장기간 논의돼온 기업이슈에 대한 한국 경제계의 대응이 부족했다"며 BIAC 한국위원회를 재정비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이에 "향후 기업 관련 이슈에 경제계가 선제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세·통상·에너지 등 주요 분야 전문가를 위원으로 모시게 됐다"고 말했다.
◇BIAC 산하 정책그룹 활동 예정, 향후 한국위원회-주요기업 간 간담회 개최
전경련은 이번 BIAC한국위원회 개편을 계기로 향후 OECD와 BIAC에서 논의 중인 정책을 심도 있게 분석해 분야별 경제계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합류한 BIAC 한국위원단은 BIAC 산하 통상, 기업지배구조, 조세 및 회계정책 그룹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에 영향을 미칠 국제 기업 이슈들을 국내에 공유하고 OECD에서 한국 경제계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협력실장은 "제2의 구글세와 같은 국제경제 이슈를 선제로 파악해 대응한다면 경영환경 급변 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BIAC 한국위원회 위원과 기업 간 간담회를 마련하는 등 사무국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끝)
출처 : 전경련 보도자료
<이 기사는 2018년 05월 03일 11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구글세 등 한국 기업에 영향을 미칠 국제 정책이슈들을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경제계가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전경련은 OECD 정책수립 자문기구인 BIAC(The Business and Industry Advisory Committee) 한국위원회를 재정비 후 3일 제1회 연례회의를 개최했다.
2012년부터 BIAC 한국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김윤 삼양그룹 회장이 한국위원장을 맡았고,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 정동수 법무법인 율촌 고문, 이재훈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박상기 법무법인 화우 고문 등 전문가 10여 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BIAC은 OECD 회원국의 경제단체로 구성돼 있으며, OECD 정책 가이드라인 수립 시 경제계 의견을 대변하고 있다.
전경련은 1996년 BIAC 가입 후 2002년 BIAC 총회와 2016년 BIAC 이사회를 한국에서 개최하는 등 한국 경제계 대표로 활동해오고 있다.
◇김윤 위원장 "구글세 등 기업이슈 선제 대응 위해 조세·통상 등 전문가 위촉"
김윤 위원장은 "한국경제의 세계적 위상에도 다자외교 무대에서 한국 입장을 대변하거나 '구글세' 등 국제사회에서 장기간 논의돼온 기업이슈에 대한 한국 경제계의 대응이 부족했다"며 BIAC 한국위원회를 재정비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이에 "향후 기업 관련 이슈에 경제계가 선제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세·통상·에너지 등 주요 분야 전문가를 위원으로 모시게 됐다"고 말했다.
◇BIAC 산하 정책그룹 활동 예정, 향후 한국위원회-주요기업 간 간담회 개최
전경련은 이번 BIAC한국위원회 개편을 계기로 향후 OECD와 BIAC에서 논의 중인 정책을 심도 있게 분석해 분야별 경제계 대응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합류한 BIAC 한국위원단은 BIAC 산하 통상, 기업지배구조, 조세 및 회계정책 그룹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에 영향을 미칠 국제 기업 이슈들을 국내에 공유하고 OECD에서 한국 경제계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협력실장은 "제2의 구글세와 같은 국제경제 이슈를 선제로 파악해 대응한다면 경영환경 급변 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BIAC 한국위원회 위원과 기업 간 간담회를 마련하는 등 사무국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끝)
출처 : 전경련 보도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