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새만금문화학당, 중국 장쑤성 장인시에 다섯 번째 학당 개설
<이 기사는 2018년 05월 07일 13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군산시가 중국과의 교류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새만금문화학당'이 지난 6일 중국 우호 도시 중 하나인 장인(江陰)시에서 5번째 개강식을 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장인시에서 열린 새만금문화학당 개강식에는 김인생 군산시 자치행정국장을 비롯해 장인시와 인민대회우호협회 관계자, 문화학당 학생들과 선생님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새만금문화학당은 2014년 3월부터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와 옌타이(煙臺)시를 시작으로 2015년 양저우(揚州)시, 2016년 웨이하이(威海)시에 개설돼 중국인들에게 한글교육과 다양한 특강을 통해 한국과 군산시를 폭넓게 알리고 있다.
군산시는 개강식을 마친 장인시를 포함해 총 다섯 곳에서 개설된 문화학당을 통해 한글교육을 기반으로 역사와 문화, 스포츠, 예술뿐만 아니라 경제 영역까지 확대해나갈 전망이다.
김인생 군산시 자치행정국장은 "지난해 한중 양국관계가 그다지 원활하지 못해 지방정부 간 교류사업 추진에도 영향을 받아 당초 계획보다 새만금문화학당 개강이 어려워져 아쉬움이 컸는데 올해 장인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개강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랜 기다림을 거쳐 개강한 만큼 한국을 더욱 이해하고 새만금의 도시 군산을 바르게 알아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장인시 우윈윈(吳芸芸) 부주임은 "2009년부터 군산시와 지속적인 교류 중 가장 큰 결실이 새만금문화학당 개설"이라며 "장인시 역시 군산시와 함께 문화학당 학생들과 선생님들과 소통하며 군산과 중국 현지 주민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가교 구실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의지를 밝혔다.
또한 군산시는 4일 우호 도시인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푸양(富陽)구와 6번째 새만금문화학당 개설을 협의했으며 푸양구 새만금문화학당은 대상을 중고생으로 특화해 방학 중 단기 개강 운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며 푸양구의 글로벌 인재양성에 힘쓸 예정이다.
한편 장쑤성에 위치한 장인시는 세계 최초 '살아있는 말 박물관'이란 타이틀로 30개국 47종마가 전시돼 기네스 기록에도 등재된 하이란(海瀾) 말 문화 박물관과 중국의 대표적인 사회주의 시장경제 모범사례로 거론되는 '천하제일촌 화시(華西)촌'으로 유명하며 기계, 철강 등이 발달한 공업도시이다.
(끝)
출처 : 군산시청 보도자료
<이 기사는 2018년 05월 07일 13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군산시가 중국과의 교류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새만금문화학당'이 지난 6일 중국 우호 도시 중 하나인 장인(江陰)시에서 5번째 개강식을 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장인시에서 열린 새만금문화학당 개강식에는 김인생 군산시 자치행정국장을 비롯해 장인시와 인민대회우호협회 관계자, 문화학당 학생들과 선생님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새만금문화학당은 2014년 3월부터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와 옌타이(煙臺)시를 시작으로 2015년 양저우(揚州)시, 2016년 웨이하이(威海)시에 개설돼 중국인들에게 한글교육과 다양한 특강을 통해 한국과 군산시를 폭넓게 알리고 있다.
군산시는 개강식을 마친 장인시를 포함해 총 다섯 곳에서 개설된 문화학당을 통해 한글교육을 기반으로 역사와 문화, 스포츠, 예술뿐만 아니라 경제 영역까지 확대해나갈 전망이다.
김인생 군산시 자치행정국장은 "지난해 한중 양국관계가 그다지 원활하지 못해 지방정부 간 교류사업 추진에도 영향을 받아 당초 계획보다 새만금문화학당 개강이 어려워져 아쉬움이 컸는데 올해 장인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개강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랜 기다림을 거쳐 개강한 만큼 한국을 더욱 이해하고 새만금의 도시 군산을 바르게 알아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장인시 우윈윈(吳芸芸) 부주임은 "2009년부터 군산시와 지속적인 교류 중 가장 큰 결실이 새만금문화학당 개설"이라며 "장인시 역시 군산시와 함께 문화학당 학생들과 선생님들과 소통하며 군산과 중국 현지 주민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가교 구실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의지를 밝혔다.
또한 군산시는 4일 우호 도시인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푸양(富陽)구와 6번째 새만금문화학당 개설을 협의했으며 푸양구 새만금문화학당은 대상을 중고생으로 특화해 방학 중 단기 개강 운영으로 차별성을 부여하며 푸양구의 글로벌 인재양성에 힘쓸 예정이다.
한편 장쑤성에 위치한 장인시는 세계 최초 '살아있는 말 박물관'이란 타이틀로 30개국 47종마가 전시돼 기네스 기록에도 등재된 하이란(海瀾) 말 문화 박물관과 중국의 대표적인 사회주의 시장경제 모범사례로 거론되는 '천하제일촌 화시(華西)촌'으로 유명하며 기계, 철강 등이 발달한 공업도시이다.
(끝)
출처 : 군산시청 보도자료





